2. 냉소, 혐오, 욕설, 비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게시판이 아닙니다. (위반시 차단될 수 있습니다.)
3. '반말', '혐오용어' 사용을 금지하고 '음슴체'를 지양합니다. (대화용으로 쓸 때는 비매너가 됩니다.)
4. 허위사실유포, 명예훼손 등의 소지가 있는 내용은 게시자 본인이 법적 책임을 지게 됩니다.
5. 익명으로 해야 할 이유가 없는 작업 이야기는 작업톡 게시판을 이용하세요.
특정 분야 질문 게시물은 관리자가 해당 게시판으로 업어갈 수도 있습니다.
전 작업자인데도 아무래도 퀄리티 때문에.. 제 성장이 멈춰버린듯합니다
영상쪽에 있을때는 수당없는 야근에 주출. 다음달 스케줄도 마음대로 짤수 없는 삶이었는데 넘어가니 다른세상인건 맞자나
연봉 복지 인센등 대우받으면서 일한다는 느낌임.
그나마 아티스트적인 부분 거세당한 기분
취준이라 잘 모르는데 큰회사에서 큰프로젝트 작업해도 영상쪽하고 퀄리티차이 많이나나요?
퀄은 훨씬 나죠 목적도 다릅니다
장르가 다른데 퀄을 비교할수가있나? 뭐 엔씨나 펍지같이 애매한실사게임들이야 그렇다쳐도 게임사에 장르가 실사만있는것도아닌데.
어느정도 경력되면 돈도 별 차이도안남..
몇백이라뇨. 올해 9천넘었는데.. 복지비도 따로고
하루라도 빨리 넘어가는게 좋음
나이먹고 게임쪽 이직해서 그런지 아티스트적인 면은 이제 큰 의미를 못느끼겠고
안정성과 야근없는 삶 높아진 보수에 만족하며 퇴근하고 남은시간에 운동하고 아티스트적인 면을 충족하는데
만족합니다
이게맞지 포폴 쌓는것도 결국 연봉인데
겨우몇백? 게임 2년차인데(영상경력 인정 못받음) 연봉 5천받고 각종 복지, 인센, 워라밸vs 영상 3년차에 3천도 못받고 무료 주출야근철야봉사, 복지 전무하던 시절하고 비교하면 글쎄..
제가 경력과 나이가 좀 있다보니 계약연봉은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좋은말감사합니다
대부분 경력이 인정안되서 신입으로 게임넘어가시는분들이
많나요?
네 경우에 따라 인정해주는 곳도 있다고 들었지만 저를 포함해 영상에서 게임중견으로 이직하신 지인분들도 테이블에 맞춰 신입연봉 4~5천으로 들어가셨습니다. 단, 게임 신입 초봉이 영상 경력보다 훨씬 높아서 불만들이 없으셨지요..
아 대부분이 그렇게 들어가시는 방식이군요..
말씀감사드립니다~!
무적권 넘어가는게 이득입니다 영상 업계는 이미 죽었습니다
스포츠도 그렇고 ai엔지니어들도 그렇고 80년대 앨리트공대생들도 그렇고. 결국 돈 큰곳으로 인력이 모이긴함. 다 이유가 있는거임. 겜쪽에서 일재미 느낄수있는 회사나 파트를 찾아보세요. 참고로 전 vfx팀장으로 있음다.ㅋ ㅜㅜ
기본적으로 연봉 테이블이 높기 때문레 평범한 실력이면 게임가는게 훨씬 좋습니다.
다만 본인이 영화를 좋아하고 능력자라면 연봉도 비슷하거나 더 많이 받고 있을거고 굳이 재미없는 작업할 필요 없으니 오히려 게임이 별로고요.
해외 계신분들 의견이 궁금하긴해요 5천에 만족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대부분 영상에서 게임 넘어갈때 경력이 어느정도 있는 분이든 신입에 가깝든 게임 최저 연봉보다 낮으니 경력인정없이 받아도 2~4백정도 수준이다보니 처음엔 이것도 감지덕지지 하고 갔다가 현타가 오긴하더라구요. 이 와중에 뒤늦게 시작한 분이 물론 그 분이 노력을 많이 하셨겠지만 해외 메이저 스튜디오에 입사한거 보니까 이렇게 현재에 안주 하는게 맞나 싶기도 하고 그렇네요
왔다 갔다 합니다. 해외 생활 지치고 한국 그립고 하면 가고 싶은데
가면 충분히 좋은 게임 회사 들어갈거 같기도 하다가. N 들어간 친구가 일도 재미없고
열정도 다 죽지만 돈 때문에 다른곳 갈 수도 없다고 하는거 보면 해외에서 하고 싶던 프로젝트 진행하는게 나은가 싶고...
요즘은 한국 물가도 너무 오르고 집값도 해외랑 또이또이 하고...코스트오브리빙도 여기가 비싸도 한국 대기업 보다 많이 버니까 커버도 되고 .... 모르겠어요
그래도 게임 다니면서 복지 보면 부럽습니다.
해외에 있습니다.
3N사 같이 복지 훌륭한 곳에 다닐수 있다면 성과금 제외 연봉 8천 정도라도 국내 갈수 있음 가고싶어요. 해외살이 대부분 만족하지만, 가족과 가까이 지내고 싶어서요.
저는 마블쇼, 애니메이션...뭘 하든 일은 일일 뿐이고, 뭘하든 보수와 워라밸만 좋으면 만족스러웠어요.
능력자면 영상에서 게임보다 훨 좋게 대우 받기가능한데 평범한 사람들은 기회주면 그냥 가야쥬..
능력자여도 게임쪽이랑은 비교불가입니다
3사 다니다가 퇴사함
나와서 2-3배 벌면서 만족중!
나오세요 그 안에 있으면 결국 여느 사람들처럼 뇌만 굳음 보여주기식 떠넘기기식 일만 하고
경력 7년차쯤 3N왔는데 경락 다 인정받고 왔음 매우만족, 영상팀이라 하는일도 같음 랜더툴이 언리얼인거 말고는 오히려 와서 언리얼 많이쓰게 돼서 더 만족 중 복지 워라벨 연봉 비교불가 사바사 같긴함
게임업계 더 일찍 못와서 후회중.......... 연봉앞자리 몇개가 다르고 거기에 분단위 야근수당 복지비 인센까지 아예 삶이 다름, 연차쌓이면 같아진다고 하는데 영상 ㅈ소에서 게임 ㅈ소로 이직하는게 아니라면 영상은 계약연봉이 영끌이고 게임은 계약연봉이랑 원천 차이 어마어마함
이것도맞지 본인 좋아하는 일 해라 대가가 따른다 하는데
아주틀린말은아닌데 맞는말도 아님
결국은 돈도 따라와야 앞으로 일하면서 지치지않고 재밌는거고
전자처럼말하는건 너무 가스라이팅적인부분도있지 나도 게임에 한표임 결국은 내가 좋아하는거 하면서 먹고산다는건데데
돈까지 많이 벌면좋은거고
나도 게임업계 대만족중
워라벨, 복지, 환경, 연봉 모두 게임 업계 압살
심지어 난 여기에서 더 내 스킬 업그레이드 됐고 더 퀄리티 높은 작업 하게됨
다시 절대 못돌아갈듯
같은 연봉 준다해도 워라벨이 다를듯
높은 기대와 달라서 실망한 사람은 조금 봤어도 후회까지 하는 사람은 못 봤음.
게임 업계가 아무리 썩어도 준치임. VFX 영상은 그냥 음쓰 수준이고.
30중반에 9천. 거기에 복지+하면 ...일도 재밌고 퀄리티도 훨씬올라감. 영상은 이제 생각도안나..
게임중 어떤 분야 하시는지 여쭤봐도 되나요?
ㅋㅋ vfx 3000 받다가 겜 이직하자마자 4500요
후회 할때도 있고 아닐때도 있고,
세상엔 공짜가 없드만.....
게임쪽이 돈은 더 주지만, 그에 따른 댓가는 다른쪽으로 분명히 있음...
작업자 입장에선 잘 안보이고 관리자 입장에서만 보이는....
암튼 자세한 얘긴 생략.....